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젠킨스설치
- server
- reghat
- jenkins server start
- gitignore
- workspace초기화
- https로 이동
- edge 브라우저로 이동
- maven설치
- oz개인정보로그
- gitlab서버stop
- gitlab서버start
- Git
- git bash
- 리눅스버전확인
- object.assign
- centos
- gitlab설치
- docker
- Oracle
- JavaScript
- tomcat
- window
- 멀티인스턴스정리
- 젠킨스백업
- jenkins설치
- Linux
- jenkins server stop
- Jenkins
- pipeline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젠킨스백업 (1)
삽질 블로그

젠킨스 설정된 것을 백업할수 있어 작업한 내용을 글로 남긴다 Jenkins 관리를 클릭한다. 플러그인 관리를 클릭한다. 검색창에 backup 이라고 검색하고 설치가능 탭에서 확인해보면 Backup Plugin 이 있을 것 이다. 설치가 안되있다면 설치해준다. 설치가 되면 설치된 플로그인 목록에 Backup Plugin이 보일 것이다 그러면 설치된것이다. 이제 젠킨스 설정 창에 가보면 Backup manager 라는게 생기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클릭해준다. 여기서 설정 버튼을 클릭해준다. Backup directory 는 백업을 보관할 파일이다. 서버에 경로에 맞춰서 넣어주면 된다. Format 은 압축 형식인데 필자는 zip 파일로 저장햇다. File name template 는 백업 파일 이름 형..
CI & CD/빌드 배포
2022. 3. 4. 1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