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server
- 젠킨스설치
- 리눅스버전확인
- tomcat
- workspace초기화
- gitlab서버stop
- maven설치
- gitlab서버start
- gitignore
- 젠킨스백업
- pipeline
- centos
- jenkins server stop
- reghat
- Jenkins
- edge 브라우저로 이동
- git bash
- jenkins설치
- gitlab설치
- oz개인정보로그
- https로 이동
- Oracle
- window
- Linux
- jenkins server start
- 멀티인스턴스정리
- Git
- object.assign
- JavaScript
- docker
- Today
- Total
목록OS/Linux (16)
삽질 블로그

wget 으로 설치 시 아래에 순서대로 명령어를 실행시켜주면된다. # Install to home directory cd ~ # Extract the package wget http://mirror.metrocast.net/apache/maven/maven-3/3.1.1/binaries/apache-maven-3.1.1-bin.tar.gz tar -xf apache-maven-3.1.1-bin.tar.gz # Install mvn to path M2_HOME=$HOME/apache-maven-3.1.1 echo -e "\n# Maven 3.1.1 Setup" >> ~/.bashrc echo -e "export M2_HOME=$M2_HOME" >> ~/.bashrc echo -e "export PATH=$..

gitLab 서비스 재시작 gitlab-ctl restart gitLab 서비스 stop gitlab-ctl stop gitLab 서비스 start gitlab-ctl start gitLab 상태확인 gitlab-ctl reconfigure

리눅스 버전 확인 1. grep . /etc/*-release 2. cat /etc/*-release | uniq 3. rpm -qa *-release

전에 작성해 놓은 gitLab 설치하는 글이 정상 작동하지 않아 새롭게 글을 작성해야겠다는 생각으로 작성했다. 환경 Red Hat Enterprise Linux 8.4 선작업 1. git version 확인 - 먼저 git 이 설치 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git --version 설치 안되어 있다면 설치를 해야한다 2. git 설치 - git-release-7-1.noarch.rpm 을 install 해준다. yum install http://opensource.wandisco.com/centos/7/git/x86_64/wandisco-git-release-7-1.noarch.rpm - git 을 install 해준다. yum install git - install 후 다시 version을 확인해준다. ..

전에 작성해 놓은 jenkins 설치하는 글이 정상 작동하지 않아 새롭게 글을 작성해야겠다는 생각으로 작성했다. 환경 Red Hat Enterprise Linux 8.4 1. Jenkins 설치 아래의 명렁어를 실행하여 jenkins repository를 설정파일로 생성한다. https://pkg.jenkins.io/redhat-stable/jenkins.repo 경로에서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etc/yum.repos.d/jenkins.repo 경로에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 명령어 입니다. wget -O /etc/yum.repos.d/jenkins.repo https://pkg.jenkins.io/redhat-stable/jenkins.repo 아래 명령어를 입력해서 key를 import 한다. rpm ..

1. 루트 - 루트는 리눅스의 최상위 디렉토리를 의미한다 -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는 루트 디렉토리에서 시작된다. - 루트 사용자만이 디렉토리에서 쓰기 권한을 가집니다. 2. bin - 바이너리 실행 파일을 포함한다. - 시스템의 모든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명령들이 위치하고있다. ex) mkdir, chmod, ps, ls 3. sbin - /bin과 마찬가지로 /sbin도 바이너리 실행 파일을 포함한다. - 이 디렉토리 아래에 있는 Linux 명령은 일반적으로 시스템 관리자가 시스템 유지 관리 목적으로 사용한다. ex) ipconfig , fdisk 4. etc - 모든 프로그램에 필요한 구성 파일을 포함한다. - 여기서 개별 포르그램을 시작/ 중지 하는데 사용하는 시작 및 종료 셸 스크립트도 포함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