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gitlab서버start
- window
- docker
- tomcat
- reghat
- maven설치
- https로 이동
- server
- Jenkins
- jenkins설치
- oz개인정보로그
- pipeline
- JavaScript
- 리눅스버전확인
- gitlab설치
- workspace초기화
- object.assign
- centos
- 멀티인스턴스정리
- jenkins server start
- git bash
- Git
- edge 브라우저로 이동
- gitignore
- 젠킨스설치
- Oracle
- 젠킨스백업
- jenkins server stop
- Linux
- gitlab서버stop
- Today
- Total
목록OS/Linux (16)
삽질 블로그

1. Centos7 jdk 설치 현재 설치 가능한 jdk 버전을 확인한다. yum list java*jdk-devel 조회된 결과중에 본인이 선택하고싶은 버전을 선택한다. 필자는 java-1.8.0-openjdk-devel.x86_64 버전을 설치한다. 실행중에 Y/N 을 선택하는 부분이 나오면 y를 입력후 ENTER 를 입력한 후 계속 진행하면 된다. 2. Centos7 jdk 설치 확인 현재 설치 된 버전을 확인한다. javac -version rpm -qa java*jdk-devel 위에 처럼 jdk 설치 버전을 확인 할 수 있다. 3. Centos7 jdk 환경변수 설정 현재 JAVA_HOME 이 설정 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echo $JAVA_HOME JAVA_HOME 이 설정 되어있다면 로고에..

환경 CentOS 7.9 (2009) svn 설치 1. 설치 할 수 있는 svn을 확인합니다. yum list subversion 2. yum을 통해서 svn을 설치한다. yum install -y subversion 3. svn의 저장소를 만들고 프로젝트 생성할 폴더를 만든다. 필자는 /home/svn폴더에 만들었다. 4. svn 저장소를 관리할 폴더의 경로를 잡아준다. vi /etc/sysconfig/svnserve 5. svn 저장소를 관리할 폴더의 경로를 잡아준다. OPTIONS="--threads --root 경로" OPTIONS="--threads --root /home/svn" 6. svn 저장소를 만들어준다. (/home/svn 밑의 경로로 잡아주면된다.) svnadmin create --..
환경 CentOS 7.9 (2009) 선작업 1. gitlab 데몬 및 계정 제거하기 sudo gitlab-ctl uninstall sudo gitlab-ctl cleanse sudo gitlab-ctl remove-accounts 2. gitlab 삭제하기 sudo dpkg -P gitlab-ce || sudo yum -y remove gitlab-ce rm -rf /opt/gitlab rm -rf /var/opt/gitlab rm -rf /etc/gitlab rm -rf /var/log/gitlab rm -rf /etc/yum.repos.d/gitlab/gitlab_gitlab-ce.repo
환경 CentOS 7.9 (2009) 선작업 1. 젠킨스 데몬 죽이기 service jenkins stop /etc/init.d/jenkins stop 2. 젠킨스 삭제하기 yum remove jenkins 3. 젠킨스 제거하기 rm -rf /etc/init.d/jenkins rm -rf /var/lib/jenkins rm -rf /etc/yum.repos.d/jenkins.repo 4. 잔여파일 남았는지 확인하기 find . -name 'jenkins*'

현재 이글대로 하면 작동안됨 이거 참고할것!! https://geowan.tistory.com/78 [Redhat] Jenkins 설치하기 전에 작성해 놓은 jenkins 설치하는 글이 정상 작동하지 않아 새롭게 글을 작성해야겠다는 생각으로 작성했다. 환경 Red Hat Enterprise Linux 8.4 1. Jenkins 설치 아래의 명렁어를 실행하여 jenkins repository.. geowan.tistory.com jenkins 설치하는것은 별거 아닌데 패키지 메니저를 최신상태로 업데이트 하지않아 삽질을 오지게햇다... 별것도 아닌데 역시 사람이 모르면 고생을 하는 것 같다. 환경 CentOS 7.9 (2009) 1. Jenkins 설치 아래의 명렁어를 실행하여 jenkins reposito..

설치 과정이 바뀐 부분이 있어 아래 url로 진행부탁드립니다. https://geowan.tistory.com/79 환경 CentOS 7.9 (2009) 선작업 1. git version 확인 - 먼저 git 이 설치 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git --version 설치 안되어 있다면 설치를 해야한다 2. git 설치 - git을 install 해준다. yum install http://opensource.wandisco.com/centos/7/git/x86_64/wandisco-git-release-7-1.noarch.rpm yum install git - install 후 다시 version을 확인해준다. git --version - git version 1.8.3.1 이 설치된것을 확인 할 수 있다..